용어설명

웹전반

알 수 없는 사용자 2011. 10. 11. 09:52

webkit: 렌더링 엔진중에 하나

bookmarklet : 브라우저 확장 기능/ cross browsing시 필요하다.

script 끝에 important를 쓰면 그 어떤 속성보다 가장 앞선다.


Selector: class: .xx/ id: # /tagname: body

Css: zengarden:: 보면 소스는 동일함: 디자인이 다름.. css로만 수정


div/p의 차이점: margin이 있고 없고

span/div의 차이점: block이고 아니고

span/p:  display inline 이고 아니고


line-through:: strike

border collapse: 이웃한 테이블의 경계선을 겹치게

header: ie6에선 안됨. block요소 / 검색엔진에서 header로 인해 검색 빨라짐. 효율적

div: 블록요소 한줄

속도상 id로 지정하는게 더 좋음

position: fixed/absolute/relate


Java script 의 기능

html로 goto the top이라고 디자인 하지 않아도, 자바로 설정하면 관련 contents뒤에 다 따라 붙는다.

c+s+f: 기본정렬로 됌


 contents를 복사할떄

1.크롬에서 ctrl+c: html뿐아니라 css까지 전부 다 끌어옴. 블로그에올리거나 할때 좋

2.firefox를 통해서 불러올떄 : 내용 html만 끌어옴 


프로그램: 반복적인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

class/java script 를 쓰면 어려운 코딩을 간편하게 할수가 있다.

모든 object에는 속성과 action이 있따. 그만큼 속성만 구축해놓고 액션만 바꾸면 하나의 css만들어놓으면 응용이 가능하다.

함수: funtion: 함수, 기능상자 괄호안에는 액션들

괄호: class안에서는 mathod/ class밖에서는 property


web desginer: 그래픽 툴, html css에 능숙한 사람

web publisher: java script까지 능숙하게 다룰수 잇는 사람


html: 요소들을 어떻게 배치하는지를

css: 요소들을 어떻게 꾸미고 어떤 속성을지니는지

js: 요소들을 어디에서 어떻게 동작시키는지를 지정


ie8: alpha 지원하지 않는다 png로

ie9: text shadow를 지원하지 않음 z-index나 다른 방식

J-Query : 적게쓰고 기능이 많다.
html은 구조
java script는 액션 후처리
css:캐시로 저장되 한번 컴파일되면 캐시저장됌 선처리

style sheet 정리법

  1. 레이아웃: ff에서 computed 에 layout 부분을 보면 됨 틀을 정한다
  2. boxmodel
  3. background나 꾸밈요소/ 간혹 border style
  4. text 관련


ID와 CLASS의 차이

: ID 는 page 당 하나  js나 기능이 필요할때는 무조건 #

(IE8 이하부터는 # 식별하여 기능적용한다.)


기능: id

기능 x: class

--> html 5부터는 <section><article><nav>가 생겨서 좀더 편리 


box model을  한줄로 정렬하고 싶을때

  1. inline-block: 가장 효율적이고 아름다운 방식
  2. float: left/right: 가장 더럽고 지저분한 방식 but IE8 이하로 지원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이걸 주로 씀

    --> 다음에 오는 element 에 반드시 clear:both를 해줘야 한다.

    • float 속성: margin을 먹지 않는다. 그래서 css에서 top:20/ left: 30px 이런거 다 float 때문


기본 loading 시간

tag(가장빠름)<id<class

기능/효과 적용시간

id(가장빠름)

modernize hmtl5 지원

http://channel9.msdn.com/Events/MIX/MIX11/HTM15


web design: server- browsing-- beauty--promotion--marketing-- 심리관찰연구--feedback